부산 감만부두 시민공원 낚시 금지 북항대교
감만부두 시민공원으로 가는길은? 이길이 맞나 할정도로 의심이드는 도로이다
주변은 컨테이너 부두로 트레이러들이 줄지어 주차가 되어있다
그래도 네비를 믿고 천천히 들어가면 감만부두 시민공원에 갈수가있다
예전에 다녀온 감만부두시민공원
지금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려나 모르겠다?
시민공원이라 해서 숲이 있고 공원이 있는것은 아니다
감만부두 시민공원 방파제를 따라 들어오면 위쪽으로는 북항대교가 놓여져있다
가까이에서 보면 볼수록 더 웅작한 북항대교
감만부두 시민공원은 무료 주차에 낚시를 즐기수가있었는데
지금은 주차비도 받고 낚시도 차박도 불가능 하다고한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차박도 하면서 낚시를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지금은 낚시도 불가능 차박도 주차비기 발생함 주차비는 최초 30분은 무료고 나머지는 유료다
낚시대를 들이우고 있지만 고기 잡는 모습은 보기가 어렵다
감만부두 시민공원 입구에는 편의점도 있어요
나두 커피한잔 하면서 감만부두를 둘러보았다 커피는 다방커피~
부두 안쪽에는 조금 더 넓은 주차공간이 있는데 있으며 머하노 지금은 유료라는거
주차장 끝쪽에는 빨간등대가 있다
제뢰등대
이 등대는 부산항의 중앙에 위치한 오리여울 또는 까치여울로 불려지는 수중 암초로 등대를 건립하여 죄뢰등대라 하였으며, 대한제국 최초의 정부등대설치 사업으로 1905년6월에 점등한 현존하는 부산항에서 최고 오래된 역사를 지닌 등대이다. 당시 구조는 석조 원형으로 높이는 2장3척(6.97m)이며, 색상은 홍색과 흑색을 횡선하고 상부에는 백색을 도장하였으며 등대의 불빛은 가스등을 사용하여 백색 부동등으로 나타내였다
등대 설치 무렵 부산항의 항만시설은 예전 부산시청 자리인 용두산 밑에 자그마한 방파제에 둘러 쌓인 양 7,000여평의 선박계류장과 우암천, 못꼴적기의 포구 및 감만의 군영이 저부였으며 등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으나 일본이 청일전쟁(1891~1892)이후 일본 함선의 통항을 위해 한반도 전 해안에 등대 설치위치를 조사하고 1901년 "한일무역규칙 및 해관세목"에 한국정부가 등대를 설치하도록 조약을 체결한 후 건설비는 한국정부가 부담하고 건설은 일본해군과 한국정부에서 나누어 시행하였다.
제뢰등대를 1998년 부산항북방파제등대로 명칭을 변경 사용하다가 2001년 신감만부두 건설로 육지와 연결되고 등대 전면의 수중암초에 감만부두등표를 설치함으로서 95년간 부산항을 밝혀온 등대로서의 기능을 마치고 영구보존등대로 지정하여 그 역사성을 간직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는 1903년 6월에 설치된 인천의 팔미도 등대이며, 부산항의 최초 등대는 1904년 8월에 설치된 부산도동으로 왜관이 설치된 초량 고관 앞의 항구 옆에 있는 암초를 피하기 위하여 전등과 후등을 철탑으로 설치하였다.
오른쪽으로 방파제를 따라 낚시 하시는 분들이 줄지어 있다
가끔 낚시한다고 자리싸움도 일어난다고 했음 지금은 낚시금지
등대왼쪽으로는 감만부두가 있다
열심히 컨테이너를 배에서 내리고 있다
각기 무슨배인지는 모르겠지만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항구에 정박중인 배들도 있고
북항대교를 바로 밑에서 볼수가 있는데
한눈에 다 들어오지가 않을정도이다
부산항만공사에서 이렇게 주의를주었는데 너무도 더럽게 사용해서 그런가
결국은 낚시금지 차박금지 주차비 부가가 되었다는
슬픈 감만부두 시민공원이야기
'국내 여긴 어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산복도로 해돋이로 하늘전망대 하늘 산책로 행복센터 커피솦 (0) | 2023.07.29 |
---|---|
부산 기장군 장안읍 1000년 고찰 장안사 (0) | 2023.07.08 |
부산 기장군 일광면 광산마을 탄광촌 근대문화역사 (0) | 2023.07.07 |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서곡저수지 배스 루어낚시 (0) | 2023.07.04 |
기장군 대변초등학교 용암초등학교 대변항 기장별치 (0) | 2023.07.03 |